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상침 송씨

덤프버전 : (♥ 0)


[ 펼치기 · 접기 ]

국왕 · 추존 국왕 · 왕비 · 추존 왕비 · 왕세자 · 왕세자빈
후궁 : 환조 ~ 연산군 · 중종 ~ 고종
왕자 : 목조 ~ 연산군 · 중종 ~ 고종
왕녀 : 익조 ~ 연산군 · 중종 ~ 철종
※ 정식 후궁 첩지가 있는 사람만 기재





조선 세종의 후궁
상침 송씨 | 尙寢 宋氏
상침 송씨묘 위치
출생1396년
사망1463년 10월 12일(음력 8월 21일)
(향년 67세)
배우자세종
자녀슬하 1녀
장녀 - 정현옹주(貞顯翁主, 1425 ~ 1480)

1. 개요
2. 생애



1. 개요[편집]


조선 세종의 후궁. 세종의 서장녀 정현옹주의 어머니다.

2. 생애[편집]


본인 및 가계에 대해 알려진 사실이 없다. 다만, 생전의 직위가 상침(尙寢)이었던 것으로 보아 본래 궁녀 출신이었을 것이다.[1]

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오암리에 그녀의 출생에 관한 지역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.[2]

옛날 도고면 오리실 윗말에 송씨 성을 가진 이가 살았는데, 인근에 목화가 활짝 피어 송씨 집의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목화를 따러 갔다. 그런데 목화밭에 어떤 노승이 누워있었는데, 노승이 많이 굶은 듯 하여 며느리가 젖을 짜 노승에게 주었다. 이에 노승이 은혜를 갚기 위해 시어머니와 며느리에게 앞산을 가리키며, "저 곳에 묘를 쓰면 왕비가 나올 것"이라고 알려주었다. 그 덕분에 며느리가 낳은 딸이 세종의 후궁이 되었다고 한다. 왕비 나온다더니 후궁이 나왔다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02 20:08:52에 나무위키 상침 송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처음 내명부 제도가 만들어졌을 때는 정5품이었다. 경국대전이 반포되면서 정6품 여관직으로 바뀐다. [2] 출처: #